09/03/2022
대구시 의료산업기반과에서
"전통 한의약 자금정(紫金錠) 간섬유화 억제 효능 밝혀져"
제목으로 보도자료를 만들어 각 언론사에 배포한 내용이 신문.방송에 보도된것을 페친님들께 공유합니다.
(2018년 11월 6일 대구한의대 간질환 한약융복합 연구센터 센터장 김상찬 교수 저희 청신한약방 사복석 다나은한방병원 원장 사은호)
학술 연구 교류협정서 채결한후 국제학술지
SCI저널 “Molecular and Cellular Toxicology” 2022년 2월호에 게재된것입니다.
페친님들 많은 성원부탁드립니다.
청신한약방 伯雲 사복석 올림
매일신문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2030315383774235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2022/02/24/E6S35PLMDRFUHLATHPUJR7WML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대구mbc
https://dgmbc.com/article/AwvtxQGAVsll2Awx1aWKO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02247541h
대구일보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202240043
[대구광역시 보도자료]
전통 한의약‘자금정(紫金錠)’간 섬유화 억제 효능 밝혀져
대구시는 ‘대구한의대학교 한약융복합활용연구센터(센터장 김상찬)에서 전통 한의학 처방인 자금정(紫金錠)이 간 섬유화*를 억제한다는 결과를 SCI급 국제학술지인 “Molecular and Cellular Toxicology” 2022년 2월호에 게재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간 섬유화: 간 세포 손상 및 간의 염증이 장기간 지속되어 간에 섬유화(흉터)가 발생하는 것, 일반적인 병의 진행 과정상 8~20%가 간경화로 전변되는 것으로 알려짐.
예로부터 자금정은 산자고(山茨姑), 대극(大戟), 속수자(續隨子), 오배자(五倍子), 사향(麝香)으로 구성되어 해독(解毒), 화담(化痰), 소종지통의 작용이 있어 조선조 궁중에서 납약(臘藥)이란 이름으로 궁중 구급비상약으로 사용되었으며, 방약합편(方藥合編) 해독문(解毒門)의 첫 번째 방제로 일명 만병해독단(萬病解毒丹)으로 불려졌고, 동의보감을 비롯한 한의고서에는 풍토병을 포함한 제반 독성물질을 해독하는 효능과 악창(惡瘡)을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김영우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발굴한 이번 연구 결과는 자금정의 고전적 치료대상 외에 간 섬유화를 억제하는 효능을 신규로 밝혀, 향후 간 섬유화를 포함하는 간장질환의 치료제로서 개발 가능성을 높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앞서 2018년에는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센터장 정수진)와 청신한약방(대표 사복석)에서도 자금정 효능검증 연구를 통해 해독 기능 중 아토피 치료 효능을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SCI급 학회지인 “Journal of Ethnopharmacology”에 게재한 바 있다.
한약융복합활용연구센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한 “2018년 선도연구센터 지원 사업(MRC)”에 선정되어 2025년까지 국비와 지방비를 포함하여 7년간 122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간질환에 대한 약물 DB를 기반으로 하여 간 손상 등에 대하여 한약 복합 신규 소재개발 및 효능기전 연구, 한/양약 융복합 신규 약물 최적 배합 및 최적 비율의 도출, 제품화, 침구 치료 등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 왔다.
김상찬 센터장은 “간 섬유화, 간경화 등의 간 질환은 바이러스·음주·비만·약물 등으로 인한 간실질세포의 손상을 회복하는 과정에서 간 성상세포가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데, 자금정은 간 성상세포에서 Smad2/3*의 인산화를 억제하고, alpha-smooth muscle actin(SMA)**의 발현과 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의 전사를 억제하였으며,
*Smad2/3: 간섬유화 관련 단백질을 유도하는 전사인자 중의 하나로서, 간섬유화/경화의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단백질로 알려져 있음
**alpha-smooth muscle actin(SMA): 간 성상세포의 활성화 지표, 간섬유화의 특징인 섬유소의 침착을 나타내는 세포내 단백질.
종양 괴사 인자 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와 인터루킨*(interleukin) 생성 조절을 통하여 간 성상세포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간 섬유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세포실험(in vitro)과 동물실험(in vivo)을 통해 관찰하였다”고 말했다.
*인터루킨: 주로 도움 T 세포, 대식세포 등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면역 반응 및 염증 반응에 관여함.
[참고] 자금정의 간(肝) 섬유화 억제 기전
- 일반적으로 간 섬유화는 Smad2/3의 인산화를 통하여 간 섬유화 관련 단백질(TGF-beta, PAI-1 등)의 증가 및 간 성상세포의 활성화를 특징으로 함.
- 자금정은 이러한 간 섬유화 유전자 (Smad2/3) 및 간 성상세포의 활성화를 조절하여 간 섬유화를 억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