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0/2025
지난 칼럼에서는,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및 면역요법 등 암 치료 시 주로 병행 사용하고, 임상에서 세포 조직의 온도를 올려 세포 스트레스를 유도하고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보조적 치료로도 사용되고 있는 온열요법을 소개하였다. 또 다른 치료 방향인 IBD(염증성 장 질환)에 온열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전임상 및 임상 연구 자료를 인용하여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임상 및 임상연구 자료에 따르면, IBD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HSP(열 충격 단백질)의 조절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전한 바 있다.
오늘 칼럼을 통해 전할 내용은 온열치료의 IBD 치료 전략에 있어서 각 HSP 군의 화합물과의 조절 작용 역할에 대해 전하고자 한다.
HSP의 기능의 다변성과 다양성은 여전히 흥미롭고 세포 보호, 병원성 또는 발암성 기준 측면에서 더 심층적인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지만, HSP는 세포 항상성 유지 기능 및 병리학적 과정 모두에 관여하기 때문에, IBD에 있어서 HSP90, HSP70, HSP60 및 소형 HSP의 역할을 요약하며, 질병의 진행 또는 발병을 완화할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표] IBD의 전임상 임상 연구에서 치료 전략으로서 HSP의 조절제 참조)
후략...
- [온열치료칼럼 63편] 온열치료의 새로운 접근, 염증성 장질환(IBD)_2부 중에서-
http://www.smmedicare.kr/?act=board&bbs_code=newsletter&page=3&bbs_mode=view&bbs_seq=305
#고주파온열암치료 #온열치료 #면역요법 #열쇼크단백질
#온열치료전문가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