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펙스 Therapex

테라펙스 Therapex "항암제 중심의 혁신신약연구 기업"

테라펙스, 글로벌 바이오 무대 진출 가속화.. 'BIO USA 2025'서 ‘TRX-221’ 관심 증가--'BIO USA 2025'서 차세대 폐암 치료제 기술이전 논의 활발--그래디언트의 자회사인 테라펙스는 '202...
24/06/2025

테라펙스, 글로벌 바이오 무대 진출 가속화.. 'BIO USA 2025'서 ‘TRX-221’ 관심 증가
-
-
'BIO USA 2025'서 차세대 폐암 치료제 기술이전 논의 활발
-
-
그래디언트의 자회사인 테라펙스는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USA)'에 참가를 성료했다고 24일 밝혔다.

테라펙스는 이번 행사에서 차세대 EGFR 저해제 'TRX-221'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텍 기업들과 핵심 파이프라인 기술이전을 위한 파트너십 논의를 진행했다.

TRX-221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내성으로 발생하는 C797S 돌연변이를 저해하는 4세대 EGFR 티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다. 이 신약 후보물질은 현재 국내에서 임상 1상 용량상승시험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들었다.

테라펙스는 행사 기간 동안 TRX-221의 중간 임상 데이터와 함께 자사의 폐암 치료제 개발 전략, 경쟁 파이프라인과 차별화된 포지셔닝에 대한 논의를 다각도로 진행했다. 특히 주요 글로벌 제약기업 및 신흥 바이오텍 기업들과의 일대일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기술이전, 공동개발, 글로벌 임상 공동 추진 등에 관한 심도 있는 협의가 이루어졌다.

테라펙스 이구 대표는 "이번 BIO USA에서 글로벌 대형 제약사를 포함한 20여 개 업체와 실질적인 기술이전 협의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또한 "특히 TRX-221이 폐암 치료의 새로운 옵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확인한 뜻깊은 기회였다"며 "이번 파트너링을 통해 테라펙스의 R&D 경쟁력과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입증하고, 향후 전략적 협업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최민석 기자(press@mdtoday.co.kr)
-
-
#테라펙스 #폐암치료제 #비소세포폐암 #제약 #바이오

′BIO USA 2025′서 차세대 폐암 치료제 기술이전 논의 활발

전임상 결과가 보여준 테라펙스의 경쟁력은?--합성신약 개발 역량으로 분자접착분해제 발굴 DAC 도전AACR 2025서 TRX-214, 전임상 발표…”연말까지 최종후보물질 도출 목표”--저분자화합물로 임상 역량을 보여...
09/05/2025

전임상 결과가 보여준 테라펙스의 경쟁력은?
-
-
합성신약 개발 역량으로 분자접착분해제 발굴 DAC 도전
AACR 2025서 TRX-214, 전임상 발표…”연말까지 최종후보물질 도출 목표”
-
-
저분자화합물로 임상 역량을 보여준 테라펙스가 항체분해접합체(DAC)로 확장을 꾀한다. 기존 저분자화합물 개발 경험을 토대로 표적단백질분해제(TPD) 발굴해 신규 파이프라인 도출을 앞두고 있다.

테라펙스는 저분자화합물에서 DAC로 모달리티를 다변화하는 한편 폐암과 같은 고형암 뿐만 아니라 혈액암까지 다양한 암종을 대상으로 신약 개발의 저변을 넓혀 나가고 있다.

그 중심엔 LG화학과 신약 바이오벤처에서 30여년간 업계에 몸담은 이구 대표가 있다. 2021년 테라펙스(구, 인터파크바이오)에 합류한 이 대표는 폐암 파이프라인 'TRX-221'의 임상 진입과 함께 새로운 파이프라인 발굴에 회사의 역량을 결집시켰다. 이를 통해 합류 4년여만에 임상 진입과 신규 파이프라인 도출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본지는 테라펙스 이구 대표를 만나 DAC 기반 신약 파이프라인 'TRX-214'의 연구 현황 등 개발 계획을 들어봤다.

저분자화합물 기반 폐암 파이프라인 TRX-221의 임상 진입 후 테라펙스는 발빠르게 후속 파이프라인 확보에 나섰다. 회사는 TPD와 유사한 분자접착분해제(Molecule Glue Degrader, MGD)에 주목했다. 이는 기존 저분자화합물 R&D 역량을 가장 잘 녹여낼 수 있는 판단에서 시작한 프로젝트였다. 초기 연구였지만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지원을 받으며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대표는 “테라펙스의 핵심 역량인 의약화학 전문성을 바탕으로 2023년 초부터 DAC 과제를 과감하게 시작했다”며 “글로벌 신약개발 동향을 살펴볼 때 기존 저분자 TPD 약물들을 면밀히 분석한 결과, 이들 약물이 약효나 안전성 측면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미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해 TPD 모달리티로 확장했고 이후 오름테라퓨틱의 글로벌 기술이전을 보며 DAC에 대한 확신이 생겼다”고 덧붙였다.

TRX-214는 GSPT1 타깃 MGD를 페이로드로 활용해 CD33 단일클론 항체에 접합해 구성된 DAC 기반 신약 파이프라인이다. GSPT1은 세포 내 단백질 합성의 마지막 단계를 조절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혈액암 세포주에서 GSPT1이 과발현된다는 결과는 다수 발표됐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GSPT1을 분해하는 MGD를 활용해 항암제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오름테라퓨틱이 BMS에 기술이전 한 ORM-6151이 있다. 후발주자로서 테라펙스는 기존 파이프라인과 비교한 전임상 데이터 확보한 상황이다.

그는 “TRX-214는 동일한 모달리티 기반의 경쟁약물인 ORM-6151 대비 GSPT1 분해 활성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인 Dmax(최대분해율) 및 DC50(50% 분해 약물농도) 수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했다”며 “뿐만 아니라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주요 약제인 벤클렉스타(성분명 베네토클락스)에 저항성을 갖는 세포를 제작하고 평가한 결과 TRX-214가 저항성 세포에서도 기존과 동일한 항암 활성을 유지하는 연구 데이터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 확보한 전임상 데이터를 AML 환자 샘플로 확장하기 위해 강남성모병원의 조병식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재발·불응성 AML 환자의 골수 샘플을 이용한 환자유래암조직(PDX) 모델 실험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해당 결해 하반기 중 도출될 예정”이라며 “임상 진입 전 유효성과 타당성을 더욱 강화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테라펙스는 계열 내 최초 혁신신약(first in clss)이라는 타이틀을 고집하진 않는다. 회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실제 임상 현장에서 쓰일 수 있는 약을 ‘개발’하는 것. 이러한 개발 전략에 따라 연구 시작 2년여만에 예비후보물질을 도출했다.

그는 “현재 우리는 예비후보물질을 도출한 상태이며 연말까지 최종 개발후보물질을 선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내부 의약화학 및 생물학적 평가 역량, 외부 협력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라펙스는 전임상까지는 발빠르게 진행해 임상 진입 전에 기술이전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기존 저분자화합물 대비 훨씬 많은 자금이 소요되는 DAC 기반 신약개발을 위해선 전임상 단계에서 기술이전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그는 “전임상 개발 이전 단계에서 기술이전이 가능하도록 경쟁약물 대비 차별화된 데이터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TRX-214 개발 과정에서도 의약화학, 약리, 안전성 등 여러 측면에서 기존 물질 대비 차별화 포인트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있으며 후보물질 선정은 물론 신약개발 전 과정에서 사업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2020년 설립된 테라펙스는 그래디언트그룹(전, 인터파크)의 계열사다. 신규 항암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4세대 EGFR 변이 표적 폐암 신약 파이프라인 TRX-221에 대한 1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출처 :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
-
-
#테라펙스 #전임상 #합성신약 #혁신신약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8269

엔허투(성분명 트라스트주맙데룩스테칸)로 대표되는 항체접합의약품(Antibody Drug Conjugate, ADC)의 성공적 상업화 이후 표적단백질분해제(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와 항체분해접합체(Degrader-anti...

테라펙스, AACR 2025서 혁신적 표적단백질 분해 ADC 발표…“차세대 혈액암 치료제 가능성 확인”-포스터 발표 세션 통해 ‘TRX-214-1002’의 항암 효능 및 안전성 등 연구 성과 발표-차세대 ADC 기술...
02/05/2025

테라펙스, AACR 2025서 혁신적 표적단백질 분해 ADC 발표…“차세대 혈액암 치료제 가능성 확인”
-
포스터 발표 세션 통해 ‘TRX-214-1002’의 항암 효능 및 안전성 등 연구 성과 발표
-
차세대 ADC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 테라펙스가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자사의 혁신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TRX-214-1002’의 연구성과를 공개하며, 글로벌 항암제 개발 무대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테라펙스는 2일 AACR 2025에 참가해 표적단백질 분해 항체접합체(DAC, Degrader-Antibody Conjugate) 형태의 차세대 약물 ‘TRX-214-1002’의 항암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주요 데이터를 포스터 발표를 통해 공개했다고 밝혔다..

‘TRX-214-1002’는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중 기존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내성을 보이는 환자를 주요 타깃으로 개발 중인 치료제로,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지원을 받아 2023년부터 본격적인 연구개발에 착수했다.

핵심은 테라펙스가 독자적으로 구축한 분해제 페이로드 플랫폼에 있다. 이 플랫폼을 통해 개발된 GSPT1 분해 페이로드는 세포 내에서 타깃 단백질을 빠르고 강력하게 분해함으로써 항종양 활성을 극대화하는 구조다. 해당 플랫폼은 기존 ADC 치료제와는 작용 기전부터 다르며, 마일로탁(Mylotarg) 등 기존 치료제 대비 현저히 향상된 항암 효과를 보였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예후가 나쁜 TP53 변이 AML 환자 대상의 마우스 모델 실험 결과다. TRX-214-1002는 이들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에게 단회 저용량 투여만으로도 종양을 완전 제거하는 우수한 효능을 나타냈다.

또한, 현재 AML 치료에서 많이 사용되는 BCL-2 저해제 베네토클락스(venetoclax에 불응성을 보이는 세포주에서도 TRX-214-1002는 지속적인 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발휘하며 2차 치료제 가능성을 입증했다.

TRX-214-1002는 치료 효과 외에도 정상 세포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높은 안전성도 함께 입증했다. 타깃 혈액암 세포를 정밀하게 공격하면서, 비표적 혈액세포와 정상조직에는 영향이 적은 프로파일을 보여줬다는 점은 향후 임상 개발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전망이다.

테라펙스 이구 대표는 “이번 발표는 단순한 기술 소개를 넘어, 당사의 분해제 페이로드 기반 ADC가 글로벌 경쟁력과 상업적 잠재력 모두를 갖췄음을 입증한 계기였다”며, “앞으로도 플랫폼을 고도화하고 적응증을 확대해 차세대 항암 신약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출처 : 팜뉴스(https://www.pharmnews.com)
-
-
#테라펙스 #백혈병 #항암제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991

차세대 ADC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 테라펙스가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자사의 혁신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TRX-214-1002’의 연구성과를 공개하며, 글로벌 항암제 개발 무대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겼...

2024년 테라펙스를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다가오는 2025년, 소망하시는 모든 것을 이루시는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합니다.풍성하고 따뜻한 새해 보내세요!(주)테라펙스 임직원 일동
31/12/2024

2024년 테라펙스를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가오는 2025년, 소망하시는 모든 것을 이루시는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풍성하고 따뜻한 새해 보내세요!

(주)테라펙스 임직원 일동

테라펙스 차세대 폐암약 "내성·선택성 차별화, DAC 확장"-이구 대표 "TRX-221 내년 기술이전 추진, 2027년 기술특례상장 목표"
31/12/2024

테라펙스 차세대 폐암약 "내성·선택성 차별화, DAC 확장"
-
이구 대표 "TRX-221 내년 기술이전 추진, 2027년 기술특례상장 목표"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27/12/2024

테라펙스에서 ADC 바이오 연구원을 채용합니다 😄
역량과 열정이 있는 많은 분들의 지원 부탁드립니다 👍

------------

>

1. 담당업무
- 신규 항체 의약품 개발
· ADC 제조 및 분석 (HIC/SEC-HPLC, FPLC)

2. 자격요건
- 생명공학: 분자생물학, 단백질공학, 생화학또는 관련학과
- 학력: 석사, 박사

3. 우대사항
- ADC 특성 분석 : ELISA, FACS 사용 경험자
- 신규 파이프라인 발굴을 위한 타겟/ 항체 검증 가능자

4. 지원방법
- 사람인, 잡코리아, LinkedIn, E-Mail (ycchoo@therapexbio.com)

테라펙스, TPD 혈액암 신약후보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차세대 ADC 개발 속도”--사이테크(Sci-tech) 선도기업 그래디언트의 바이오 자회사 테라펙스(대표이사 이구)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 이하 ‘...
24/09/2024

테라펙스, TPD 혈액암 신약후보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차세대 ADC 개발 속도”
-
-
사이테크(Sci-tech) 선도기업 그래디언트의 바이오 자회사 테라펙스(대표이사 이구)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 이하 ‘사업단’)의 2024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개발 지원’에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
이번 선정으로 테라펙스는 향후 1년 6개월간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기존의 혈액암 치료제에 불응하거나 약물 반응성이 낮은 재발 및 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용 표적단백질분해제(TPD) 기반의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 도출을 최종 목표로 과제를 수행한다.
-
테라펙스는 이를 위해 ADC 전문 바이오텍인 피노바이오와 함께 ADC 최적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앞서 테라펙스는 지난 4월 피노바이오와 TPD 기반의 ADC 항암제 연구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ADC는 세포독성물질을 페이로드(Payload)로 활용한 반면, 테라펙스는 TPD를 페이로드로 사용함으로써 정상 세포에 대한 선택성을 확보해 독성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
테라펙스 이구 대표는 “이번 신약개발 지원 사업 선정은 자사의 TPD 페이로드로 만든 ADC 선도물질의 차별성을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면서 “효능과 안전성을 갖춘 차세대 ADC 개발을 통해 내년 중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차세대 후보물질을 도출하고,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
< 출 처 : 약업신문, 권혁진 기자 >
-
-
#테라펙스 #표적단백질분해제 #항체약물접합체 #항암제 #신약개발 #신약연구 #선도물질 #후보물질 #바이오 #의약화학 #의약합성 #전임상 #국가신약개발사업단

(왼쪽부터)테라펙스 이구 대표와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박영민 단장이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협약식 진행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테라펙스사이테크(Sci-tech) 선도기업 그래디언트의 바이오 자회사 테라펙스(대...

테라펙스, WCLC서 EGFR 비소세포폐암 4세대 표적항암제 ‘TRX-221’ 임상 포스터 발표--사이테크(Sci-tech) 선도기업 그래디언트의 바이오 자회사 테라펙스(대표이사 이구)는 지난 7일부터 10일(현지시...
11/09/2024

테라펙스, WCLC서 EGFR 비소세포폐암 4세대 표적항암제 ‘TRX-221’ 임상 포스터 발표
-
-
사이테크(Sci-tech) 선도기업 그래디언트의 바이오 자회사 테라펙스(대표이사 이구)는 지난 7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2024 세계폐암학회(이하 WCLC 2024)에 참가했다고 11일 밝혔다.
-
국제폐암연구협회(IASLC)가 주최하는 WCLC는 폐암 및 기타 흉부 악성 종양 분야에 특화된 글로벌 학술대회로, 매년 100여개국에서 80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참가한다.
-
테라펙스는 이번 WCLC에서 EGFR 비소세포폐암 4세대 표적항암제 'TRX-221'의 임상 디자인과 첫 번째 코호트 중간 결과를 포스터 발표하며 첫 투약 결과 및 후속 임상 진행 상황을 공유했다.
-
또한 발표자인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임선민 교수와 TRX-221의 투약에 대한 심도 있는 설명을 이어갔으며, 현장에서는 미국, 싱가포르, 대만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임상연구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
TRX-221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타그리소의 내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요 변이인 EGFR C797S뿐만 아니라 EGFR 활성변이 및 T790M 변이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4세대 EGFR 타이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다.
-
지난해 미국종양학회(AACR)와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전임상 데이터 발표를 통해 많은 연구자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
TRX-221은 현재 서울아산병원, 신촌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국내 6개 대학병원에서 임상 1a상을 진행 중이며, 9월 초부터는 두 번째 코호트 환자를 대상으로 투약을 진행하고 있다.
-
이어지는 용량 탐구 단계부터는 환자 모집 확대를 위해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임상을 추진할 계획이다.
-
테라펙스 이구 대표는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는 국제 학회에서 테라펙스의 첫 번째 임상 과제인 TRX-221의 임상 초기 결과와 앞으로의 임상 계획을 발표할 수 있어서 기쁘다”며 “아직까지 타그리소 내성 환자를 위한 표적항암제가 전무한 상황에서 환자분들께 새로운 희망을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개발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
-
< 출 처 : 약업신문 권혁진 기자 >

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299329

그래디언트의 바이오 자회사 테라펙스는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비소세포폐암 표적항암제 'TRX-221'의 국내 임상 1상 첫 환자 투약을 삼성서울병원에서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테라펙스는 미국 식품의약국(...
17/06/2024

그래디언트의 바이오 자회사 테라펙스는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비소세포폐암 표적항암제 'TRX-221'의 국내 임상 1상 첫 환자 투약을 삼성서울병원에서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
테라펙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된 임상시험계획(IND)에 따라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가운데 기존 세대 EGFR 저해제 중 하나 이상의 치료제를 투약 받은 후 질병이 진행된 환자 115명을 대상으로 TRX-221의 안전성과 효능을 탐색한다.
​-
TRX-221의 임상 1/2상 시험은 3단계로 진행될 예정이다.
1a상 용량 증량 단계에서는 단계적 약물 증량을 통한 약물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한다.
1b상 용량 탐구 단계에서는 약물의 최대 내 약용량 또는 2상 시험용 추천 용량을 결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2상에서는 고형암 평가 기준 버전 1.1을 토대로 약물의 객관적 반응률(ORR)을 통해 TRX-221의 약효를 평가하고 약물에 의한 부작용 등을 탐색한다.
-
테라펙스는 임상 시험 가속화를 위해 1상 용량 증량 단계는 삼성서울병원 등 국내 6개 병원에서 진행하고, 용량 탐구 단계부터는 환자 모집 확대를 위해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
TRX-221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타그리소의 내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요 변이인 EGFR C797S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4세대 EGFR 타이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다.
단일 EGFR 변이를 포함해 1, 2세대 치료제에 의해 발생하는 T790M 변이까지 저해하는 광범위 저해제로, 지난해 기준 약 8조 원 규모의 연 매출을 기록한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 시장까지 확장할 가능성을 전임상 시험에서 입증한 바 있다.
​-
특히 TRX-221은 실제 타그리소 내성 폐암 환자의 조직과 세포를 이식한 다양한 환자 유래 이종이식(PDX) 마우스 모델에서 우수한 항암 효능을 확인한 바 있으며, 같은 PDX 마우스 모델에서 경쟁 물질이 도달하지 못한 종양의 완전 관해를 유도해 우수한 항 종양 효능을 입증했다.
최근에는 약물의 가치 극대화를 모색하고자 MET 유전자 증폭 타깃 약물과의 병용 요법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전임상 수준에서 연구를 수행 중이다.
​-
이구 테라펙스 대표는 "임상에서 성공한 4세대 EGFR 치료제가 없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에 대한 미충족 의료 수요가 점차 커지는 가운데, TRX-221의 첫 환자 투약이 개시되어 뜻깊게 생각한다"며 "신속한 임상 시험 진행을 통해 말기 비소세포폐암 환자분들께 하루빨리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더욱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
​-
< 출 처 : 이상민 기자, 테라펙스, 4세대 EGFR 비소세포폐암 표적항암제 임상 1상 첫 환자 투약, 이투데이, 2024.06.17, https://www.etoday.co.kr/news/view/2370419 >
-
-
#테라펙스 #비소세포폐암 #표적항암제 #바이오 #의약화학 #임상 #사업개발

▲테라펙스 CI (사진제공=테라펙스)그래디언트의 바이오 자회사 테라펙스는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비소세포폐암 표적항암제 'TRX-221'의 국내

『이구 테라펙스 대표 "TRX-221, 계열 내 최고 표적항암제 노린다"』-“테라펙스를 표적항암제를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 기업을 성장시키겠다.특히 선두 파이프라인인 TRX-221을 계열 내 최고 표적...
09/05/2024

『이구 테라펙스 대표 "TRX-221, 계열 내 최고 표적항암제 노린다"』
-
“테라펙스를 표적항암제를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 기업을 성장시키겠다.
특히 선두 파이프라인인 TRX-221을 계열 내 최고 표적항암제로 꼭 만들겠다.”
-
이번에 #테라펙스 이구 대표이사님과 이데일리의 인터뷰가 있었습니다 😄
-
테라펙스가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 기업으로 우뚝 서기 위한 포부를 밝혔고, 반드시 그렇게 성공하리라는 확신을 보인 인터뷰였습니다 👍
-
많은 열람 부탁드려요 😉

https://pharm.edaily.co.kr/news/read?newsId=01492406638887280&mediaCodeNo=257

“테라펙스를 표적항암제를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 기업을 성장시키겠다. 특히 선두 파이프라인인 TRX-221을 계열 내 최고 표적항암제로 꼭 만들겠다.”이구 테라펙스 대표. (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이구 테라....

테라펙스, 피노바이오와 차세대 ADC기술 개발위해 '맞손'-이번 계약에 따라 양사는 테라펙스의 표적단백질 분해제 기술과 피노바이오의 ADC 링커 기술을 결합해 새로운 분해제·링커 플랫폼을 개발한다. 양사는 차세대 A...
30/04/2024

테라펙스, 피노바이오와 차세대 ADC기술 개발위해 '맞손'
-
이번 계약에 따라 양사는 테라펙스의 표적단백질 분해제 기술과 피노바이오의 ADC 링커 기술을 결합해 새로운 분해제·링커 플랫폼을 개발한다. 양사는 차세대 ADC를 발굴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ADC가 세포독성물질을 페이로드(payload)로 활용했다면 이번 공동 연구에는 표적단백질 분해제를 페이로드로 사용한다. 이로써 양사는 ADC의 정상 세포에 대한 선택성을 확보해 독성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다수의 ADC 연구 개발을 통해 축적된 피노바이오의 노하우가 더해지면서 테라펙스의 혁신 ADC 발굴 연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
이구 테라펙스 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의 핵심 기술이 결합되면서 신약개발에 의미 있는 공동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항암 효능과 약물 안전성이 개선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차세대 ADC를 발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정두영 피노바이오 대표는 “단백질 분해제를 접합한 ADC 개발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는 지금 테라펙스와 협업하게 돼 기쁘다”며 “당사의 ADC 플랫폼의 기술력을 한 단계 더 진보시킬 수 있는 기회인 만큼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
< 출처 :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
-
-
#테라펙스 #피노바이오 #표적항암제 #바이오 #의약화학 #신약 #임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728176?sid=105

Address

송파구 정의로7길 6, 3층 (문정동, PNS홈즈타워)
Seoul
05835

Opening Hours

Monday 08:30 - 17:30
Tuesday 08:30 - 17:30
Wednesday 08:30 - 17:30
Thursday 08:30 - 17:30
Friday 08:30 - 17:30

Telephone

+82263203353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테라펙스 Therapex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Contact The Practice

Send a message to 테라펙스 Therapex: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