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7/2024                                                                            
                                    
                                                                            
                                            정신질환과 신체질환이 없는 건강대조군을 대상으로 뇌의 구조와 기능을 검사하는 뇌자기공명영상과 양전자방출단층 촬영 검사를 받아보시고 싶은 분을 모집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여 연구참여를 신청해주세요.
[모집 대상자]
▶ 만 19~40세 성인 여성
▶ 경계성인격장애 또는 다른 정신질환이 없는 자
▶ 기타 정신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신체질환이 없는 자 (예: 암, 만성질환 등)
▶ 검사방법 : 정신건강 설문평가 및 면담, 타액 채취, 심박변이도 및 뇌파 측정 
--- 아래 --- 
[한국형 경계성인격장애 평가 및 치료 개발 연구 건강대조군 참여자 모집]
[연구 제목]
경계성인격장애 전향적 임상코호트구축 및 한국형 표준평가프로토콜 및 근거기반 치료 개발
[임상연구 목적]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진행중인 경계성인격장애 연구의 건강대조군 자료 수집을 위하여 아래와 같은 조건에 해당하는 건강대조군을 모집합니다. 연구에 참여하면 타액호르몬 검사, 심박변이도 검사, 뇌파 검사, 임상가 면담 및 설문지 검사를 받게 되며, 원하실 경우 설문지 검사에 대한 간단한 결과를 임상심리사에게 직접 들으실 수 있습니다. 
[연구에서 사용되는 설문지, 임상시험용 의료기기, 치료법에 대한 정보]
1) 임상가 면담 
- 임상가용 정신질환진단을 위한 구조화된 면담(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5 disorders Personality Disorders, SCID-5-PD)을 통해 경계성인격장애 진단평가 시행
- 간이국제신경정신면담(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을 이용한 구조화된 면담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감별진단 시행 
- 단축형 지능검사를 통해 지적장애 감별
 2) 설문지 
- 기본 인구학적 정보 (성별, 연령, 사회경제적 상태, 교육 연수, 질병 상태 등)
- PROVE (PROtective and Vulnerable factors battEry test): 우울증상, 생애초기스트레스, 성인애착 척도, 자살/자해 위험성, 마음헤아리기 능력 등 정신건강 보호-취약 요인 선별 평가를 위한 도구 
- 경계성인격 특성(PAI-BOR, BSL-23): 경계성인격장애 특성 정도에 대한 평가
- 해리증상척도 (Dissociative Symptoms Scale, DSS): 이인증과 비현실감, 의식과 기억의 틈, 감각 오지각, 해리성 재경험에 대한 평가
- 회복탄력성 척도 (KRQ): 트라우마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하고 견뎌내는 적응능력 평가
- 기질성격특성평가 (TCI): 유전적으로 타고난 기질과 후천적으로 발달시킨 성격에 대한 평가
3) 타액 분석 
대상자가 자택에서 하루 동안 타액을 직접 수집하여(전날 밤 9시, 기상 직후, 30분 후, 60분 후 / 총 4회) 냉장 보관 후 ㈜마인즈에이아이 연구소로 제출합니다. 타액은 각각 2cc정도 채취하며(튜브 당 2cc x 4튜브=총 8cc), 타액 중 코티솔 및 코티솔의 상대적 농도와 연관된 타 스테로이드 호르몬(DHEA)의 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반응 및 부신기능을 평가합니다. 타액은 홈픽 서비스를 통해 자택으로 수거해갈 예정입니다. 
4) 심박변이도 측정 (Heart Rate Variability) 
mobiCARE MC-100 장비를 이용하여 심박변이도를 측정하고 자율신경계 기능이상을 심장 박동수의 변화 폭, 심박동의 단기간 변이도, 교감/부교감 균형지표(SDNN, RMSSD, HF/LF ratio) 등의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합니다. 휴식 상태에서 10분간 측정하며, 측정된 심박에 대한 정보는(총 2회) 블루투스를 통해 앱으로 전달되어 ㈜씨어스테크놀로지 서버에 저장될 예정입니다
5) 뇌파 분석 (64 channel EEG)
EGI사(Electrical Geodesics, Inc., Eugene, OR, USA)의 64채널 전극을 이용하여 뇌파를 측정하게 됩니다. 전극의 위치를 결정하기 전, 대상자의 머리둘레를 측정해 크기에 맞는 사이즈의 전극 네트를 선정하며, 네트를 대상자에게 씌운 후 모든 전극의 저항을 낮추고 외부 자극이 없는 편안한 휴식상태에서 휴지기 뇌파(Resting-state)를 측정합니다. 측정은 눈을 감고 5분, 눈을 뜨고 5분 측정하게 됩니다.
  이 검사들은 방문 당일 혹은 검사가 예약된 일정에 따라 진행되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시험대상자는 예정된 일정을 준수하여 성실하게 임해야 합니다. 연구 참여 일정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임상연구 참여가 중지될 수 있습니다. 
[모집 대상자]
▶ 만 20~40세 성인 여성
▶ 경계성인격장애 또는 다른 정신질환이 없는 자
▶ 기타 정신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신체질환이 없는 자 (예: 암, 만성질환 등)
▶ 검사방법 : 정신건강 설문평가 및 면담, 타액 채취, 심박변이도 및 뇌파 측정 
[연구기간] 
◈ IRB 승인일 ~ 2024년 12월 31일 
[참여 대상자 수]
◈ 25명
[검사장소]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및 미래의학연구센터 연구실
[방문 횟수 및 소요시간]       
첫 방문 시 연구에 대해 설명 후 동의서를 작성하고, 전반적인 평가 진행 후 선정기준에 부합할 경우 설문지를 작성하게 되며(온라인 및 서면), 설문지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40~50분 정도로 예상됩니다. 설문지 완료 후 연구진이 mobiCARE MC-100 장비를 사용하여 휴식 상태에서 10분 간 심박변이도를 측정합니다. 이후 타액 채취 방법에 대해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배부된 키트를 사용하여 추후 자택에서 타액을 직접 채취하고, 수집한 검체(타액)은 ㈜마인즈에이아이로 재반송하며, 배송 방법과 관련하여 연구진이 안내를 드릴 예정입니다. 뇌파 검사(EEG)는 연구진과 일정을 조율한 뒤, 평가일 기준 ±4주 이내에 본원으로 방문하여 측정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연구 참여 시 소요되는 비용 부담 주체 및 사례비 유무]       
본 연구에 참여하시게 되면 심리사회학적 평가, 생체 신호 수집 및 뇌파 검사를 위해 강남세브란스병원 총 방문 횟수는 2회(타액 채취/심박변이도 패치 직접 방문 제출 희망시 최대 3회) 예상되며, 교통비 3만원을 지급해 드립니다. 교통비는 설문지, 생물학적 검사(타액호르몬, 심박변이도, 뇌파검사)를 모두 완료하고 검체를 연구진이 수령했을 때에 한해 지급될 것입니다. 연구참여와 관련된 검사비용은 연구비에서 지급되기 때문에 귀하가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없습니다. 
[예측 가능한 부작용]
본 연구는 설문지의 내용 중에 아동기 학대경험을 비롯한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정신적 충격이나 고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어려움이 있다면 언제든 연구진에게 알려주시고, 연구 참여를 중단하실 권리가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에는 투약 및 개입이 필요하지 않은 비침습적인 검사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되는 도구(타액호르몬 키트, 심박패치 MC-100, 뇌파검사(EEG))들은 특별한 잠재적 위험이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심박 패치 등을 사용시 부착 부위에 피부 알러지 등의 불편감을 호소할 가능성이 아주 미약하게 있습니다. 이에 연구 도중 불편감을 느끼게 된다면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중단하실 권리가 있습니다
[연구 담당자]       
- 석정호(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책임자)
- 신현경(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CRC) / 연락처 : 010-8299-6768
연구참여를 원하시거나 연구에 대해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010-8299-6768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